족저근막염은 발바닥을 따라 흐르는 두꺼운 조직 띠인 족저근막이 염증이 생기거나 자극을 받아 발생하는 흔한 질환입니다. 주로 서 있거나 걸을 때 발 뒤꿈치나 발바닥 아치에 날카롭고 찌르는 듯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통증은 보통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치료가 되지만, 일상생활에 심한 불편을 주고 통증이 오래간다면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족저근막염은 누구에게나 걸릴수 있는 흔한 병이지만 특히 과체중이거나, 임산부, 서 있는 시간이 많은 사람들에게 발병확률이 높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원인
족저근막염의 원인으로는 우선 갑작스럽게 무리한 운동, 특히 등산, 마라톤 등 달리기와 점프로 인해 발에 과도하고 반복적인 체중과 힘을 받으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평발 또는 발바닥의 높은 아치로 인한 원인이 있을 수 있으며, 주로 신는 신발에 의해 발병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과체중이나 비만으로 발에 무리가 가서 생기는 경우도 있고, 노화로 인해 족저근막이 탄력을 잃고 부상을 입기 쉬워질 수 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증상
족저근막염의 가장 흔한 증상은 특히 아침에 침대에서 일어서거나, 오래 앉아 있을 때 발 뒤꿈치나 발바닥의 아치가 찌르는 듯한 통증입니다.
이러한 통증은 운동 후나 장시간 서 있는 후에 더 심해질 수 있으며, 발이 뻣뻣하고 조이는 느낌이 들거나 발이 붉어지며 붓는 경우도 있습니다.
족저근막염 치료법
족저근막염은 보통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1. 발을 쉬게 하고 통증을 악화시키는 활동을 피하기
2. 환부에 얼음 또는 열 찜질
3. 이부프로펜이나 아세트아미노펜과 같은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진통제 복용
4. 아치 지지대가 잘 되어 있고 쿠션성이 좋은 신발을 신기
5. 발의 근육과 종아리 근육을 위한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
6. 신발 보정물과 같은 교정 장치 사용
7. 심한 경우에는 물리치료, 스테로이드 주사, 수술 등 병원진료를 받을 것
족저근막염에 효과적인 스트레칭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은 족저근막염의 통증을 완화하고, 향후 발생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종아리 스트레칭
한쪽 발을 다른 쪽 발 앞에 두고 벽을 향해서 서세요. 앞으로 몸을 숙이고 손을 벽에 대고 뒷다리를 곧게 펴고 앞 무릎을 구부린 후, 15-30초간 유지하고 반대쪽에서 반복합니다.
발가락 스트레칭
한쪽 발을 반대편 무릎 위에 교차시킨 채 앉으세요. 손가락을 사용하여 발끝이 정강이 쪽으로 당겨질 때까지 부드럽게 당깁니다. 15-30초 동안 유지하고 다른 발로 반복합니다.
족저근막 스트레칭
한쪽 다리를 다른 쪽 무릎 위에 교차시킨 채 앉으세요. 손가락을 사용하여 발 뒤꿈치 근처의 발밑을 마사지합니다. 그러고 나서, 다른 손을 사용하여, 발바닥 근막이 늘어나는 것을 느낄 때까지 발가락을 정강이 쪽으로 뒤로 당깁니다. 15-30초 동안 유지하고 다른 발로 반복하세요.
족저근막염에 좋은 신발
족저근막염은 신발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도 많습니다.
족저근막염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너무 꽉 끼는 신발보다는 약간 넉넉한 사이즈의 부드러운 신발을 신고, 뒷굽이 너무 낮거나 발바닥이 딱딱한 신발은 피해야 합니다.
발바닥 아치의 쿠션이 있으면 발바닥에 가해지는 힘을 줄이고 통증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여성분들은 굽이 높은 하이힐이나 굽이 없는 플랫슈즈를 오래 신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굽 높이가 높은 신발을 착용할 경우 발목 관절 각도가 증가하고 쿠션이 없어 발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발건강에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랫한 신발을 착용할 경우 발의 앞쪽과 뒤쪽 부분에 부담이 집중되어 좋지 않다고 합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는듯한 속쓰림,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 및 증상과 치료 방법 (0) | 2023.03.19 |
---|---|
혈변, 치질, 변비...혹시...? 대장암의 증상과 예방법 (0) | 2023.03.07 |
스타벅스의 글로벌 신메뉴 올리브 오일 커피 출시, 올리브 오일의 효과 (0) | 2023.02.27 |
다리가 퉁퉁 붓는 이유: 다리부종 원인과 증상, 치료법 (1) | 2023.02.24 |
눈 밑이 파르르 떨리는 이유, 치료와 예방법 (0) | 2023.02.24 |